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의 침 치료 효과 - 한국한의학연구원

경희자연한의원 2016. 10. 26. 08:30

핸드폰 및 PC사용의 증가로 인해 안구건조증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의학 연구원에서는 2013년 총 ​150명의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침치료군> 75명, <인공누액 대조군> 75명으로 나누어 4주간 침치료와 인공눈물을 눈에 넣는 방법으로 임상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침치료군은 아래 그림의 혈자리에 주 3회, 4주간 침치료를 실시하였고,

인공누액 대조군은 1일 1회 이상 총 4주간의 인공눈물을 투여하였습니다.

 

 

​평가에는 눈물막 파괴시간(Tear Film Break-Up Time: BUT),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와 시각적 통증 강도 비율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가 사용되었습니다.

8주 후 ‘OSDI’에서 치료군은 32%, 대조군은 20% 호전됐으며 ‘VAS’의 경우 치료군은 36%, 대조군은 22% 호전되어, 침치료군의 안구건조 개선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침치료로 안구주위의 근육긴장을 풀고,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눈물샘의 원활한 기능을 돕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눈이 침침하고 뻑뻑하신 분들께는 침치료!!! 효과가 뛰어납니다!!!

< Written by 경희자연한의원 > ​

< 참고 >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Tear film break-up time : BUT)

BUT검사는 안구건조증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 아래쪽 결막에 염색액을 묻혀 눈물막을 염색시킨 후 눈물막이 안구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을 알아보는 검사. 안구건조가 심할수록 눈물막이 빨리 깨지며, 눈물막이 깨지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호전된 것.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 OSDI)

시력에 관련된 기능(5가지 문항), 안구증상(4가지 문항), 증상을 야기할 수 있는 환경인자(3가지 문항)에 관해 0점부터 4점까지 점수를 이용하여 측정. OSDI 지수는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이 심해서 많이 불편한 것을 의미.

시각적 통증 강도 비율 척도 VAS(Visual analog scale)

10cm 수직선에 왼쪽 끝은 ‘0 : 증상 없음’, 오른쪽 끝은 ‘100 : 가장 심한 불편감’으로 나타내며, 수치가 낮아질수록 증상이 개선되는 것. 이 방법은 한 사람의 환자를 다른 환자와 비교할 수는 없지만 동일 환자에 대해서는 통증이 어떻게 변동하고 있는지를 상당히 정확히 파악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