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의 침 치료 효과 - 메타분석

경희자연한의원 2016. 10. 27. 08:30

어제는 한의학 연구원에서 발표한 안구건조증의  침치료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외국에서 발표된 안구건조증의 침치료 사례를 살펴볼까 합니다.

 

 

 

이 논문은 2014년도까지 발표되었던 7개 논문을 메타분석한 것입니다.

 

각 논문마다 198-1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침치료군> <인공눈물 군> 으로 나누어 연구하였고, BUT*, Scirmer Test**, Cornea Fluorescein staining(CFS)*** 로 증상 분석하였습니다.

 

결론 :

1. 침치료 환자군의 BUT는 인공눈물 군에 비해 월등히 호전되었습니다.(P<0.00001)

 

2. 침치료 환자군의 Scirmer Test 또한,  인공눈물 군에 비해 월등히 호전되었습니다.(P=0.001)

 

3. Cornea Fluorescein staining(CFS) 또한 침치료군이 인공눈물군에 비해 확연히 개선되었습니다.(P<0.0001)

 

 

< 참고 >

 * 눈물막 파괴 시험 검사(BUT) : BUT검사는 안구건조증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 아래쪽 결막에 염색액을 묻혀 눈물막을 염색시킨 후 눈물막이 안구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을 알아보는 검사. 안구건조가 심할수록 눈물막이 빨리 깨지며, 눈물막이 깨지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호전된 것.

 

** Scirmer Test (셔머 테스트 ) : 기초 눈물량 검사, 5분동안 12-15mm 젖으면 정상

 

 

*** Cornea Fluorescein staining(CFS) : 각막 염색 검사